
시작하기
남부끄럽지만, 5년차 개발자가 된 이 시점에 나의 SQL 실력은 어느정도일까 궁금해졌다.
마침 SQLD 시험이 멀지 않은 시점에 있었고, 자격증이라고는 대학교때 따놓은 '정보처리기사' 뿐인지라, 이참에 내 SQL 실력을 테스트해보고, 나를 어필할 수 있는 자격증 하나를 더 얻어두면 좋겠다는 생각에 시험을 준비했다.
우선 한국 데이터 산업 진흥원 사이트에서 3월 8일에 예정된 SQLD 시험을 접수하였다.
부끄러운 실력이지만 그래도 내가 몇년차인데라는 생각으로 기출문제를 풀어보고, 실무와는 또다른 문제들에 낯부끄러운 점수를 가지고 시험준비를 시작했다.
공부방법

합격 후기나 시험을 준비한 많은 분들이 흔히 말하는 '노랭이책'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로 공부를 했다는 내용을 토대로 해당 책으로 공부를 시작했다.
데이터 모델링과 SQL 기본, 심화 활용챕터로 나뉘어져 예시 문제들이 수록되어 있었고, 어느정도 아는 문법과 이론들도 있었지만 생소한 내용들도 많이 있었다.
실전문제를 조금 풀어본후, 이론과 문법을 다시 한번 정리할 필요성을 느끼고 SQLD 시험에 나오는 이론과 문법을 찾아 요약본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요약본을 회독하며, 예상기출문제를 만들고 풀어보며 어느정도 감을 잡은후 노랭이책으로 돌아와서 문제를 풀기 시작했다.
시험 일주일전 기준 공부 루틴은
이론, 문법 요약본 정독 - 노랭이 데이터모델링 이론 챕터 풀기 - 노랭이 SQL 기본, 심화 활용 문제 OR 기출문제 풀기
위 과정을 매일 반복하였다.
공부하면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들, 계층형 쿼리나 윈도우 함수 부분들은 유튜브 강의를 들으면서 이해했다.
노랭이 책에서는 이번 개정 시험범위에 포함된 정규식, PIVOT, UNPIVOT 구문에 대해서 다루지 않고 있기때문에 별도로 공부를 해야한다. 더불어 3월 8일 시험에서는 특히 정규식 관련문제가 다수 출제되었다.
공부기간,공부량
시험준비는 한달전부터 했지만, 본격적으로 준비한건 2주전부터인것 같다.
한달전에는 하루 30분 -1시간 정도, 2주 전에는 1-2시간 그리고 일주일전에는 하루에 2-3시간씩 공부하였다.
총평
처음에는 너무 쉽게 생각하며, 큰 기대를 하지 않았지만 실무적으로 많이 배울 수 있는 점도 있었다.
OCJP나 AWS 일부 시험과 같이 덤프문제를 반복적으로 풀면서 기출문제를 외워서 풀 수 있는 시험도 아닌것 같다.
대학 생활이후 오랜만에 시험공부를 하면서 SQL과 DB에 대해서 많이 배우고 재밌게 준비할 수 있었다 :)
개인적으로 쿼리 튜닝과 DB 최적화에 대해서도 공부해보고 싶은데, 마침 SQLP에서 해당 부분을 다룬다고 하여 SQLD 결과 발표이후, 다가오는 8월에는 SQLP를 준비하고 시험 도전해볼까한다. 합격률 5%.. ㄷㄷ
시험을 하루 앞두고 적은 글인데, 결과발표 이후에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시험결과
3월 8일 시험을 보고 돌아왔다.
헷갈리는 문제들도 많았지만 가채점 결과 80점이 넘는 점수로 무난히 합격한듯 하다.
물론 28일 최종 결과 발표가 나와야 알겠지만, 우선 SQLP, PCCP 준비를 하려한다.
3월 28일시험 결과 발표후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
3월 28일 시험 점수와 합격여부가 공개됐다.
여유있게 합격했다.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iew] 조금 늦은 2024년 회고와 2025년 목표 (1) | 2025.01.26 |
---|---|
통합회원(Integrated Member) 프로젝트 오픈 회고 (0) | 2023.07.23 |

시작하기
남부끄럽지만, 5년차 개발자가 된 이 시점에 나의 SQL 실력은 어느정도일까 궁금해졌다.
마침 SQLD 시험이 멀지 않은 시점에 있었고, 자격증이라고는 대학교때 따놓은 '정보처리기사' 뿐인지라, 이참에 내 SQL 실력을 테스트해보고, 나를 어필할 수 있는 자격증 하나를 더 얻어두면 좋겠다는 생각에 시험을 준비했다.
우선 한국 데이터 산업 진흥원 사이트에서 3월 8일에 예정된 SQLD 시험을 접수하였다.
부끄러운 실력이지만 그래도 내가 몇년차인데라는 생각으로 기출문제를 풀어보고, 실무와는 또다른 문제들에 낯부끄러운 점수를 가지고 시험준비를 시작했다.
공부방법

합격 후기나 시험을 준비한 많은 분들이 흔히 말하는 '노랭이책'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로 공부를 했다는 내용을 토대로 해당 책으로 공부를 시작했다.
데이터 모델링과 SQL 기본, 심화 활용챕터로 나뉘어져 예시 문제들이 수록되어 있었고, 어느정도 아는 문법과 이론들도 있었지만 생소한 내용들도 많이 있었다.
실전문제를 조금 풀어본후, 이론과 문법을 다시 한번 정리할 필요성을 느끼고 SQLD 시험에 나오는 이론과 문법을 찾아 요약본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요약본을 회독하며, 예상기출문제를 만들고 풀어보며 어느정도 감을 잡은후 노랭이책으로 돌아와서 문제를 풀기 시작했다.
시험 일주일전 기준 공부 루틴은
이론, 문법 요약본 정독 - 노랭이 데이터모델링 이론 챕터 풀기 - 노랭이 SQL 기본, 심화 활용 문제 OR 기출문제 풀기
위 과정을 매일 반복하였다.
공부하면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들, 계층형 쿼리나 윈도우 함수 부분들은 유튜브 강의를 들으면서 이해했다.
노랭이 책에서는 이번 개정 시험범위에 포함된 정규식, PIVOT, UNPIVOT 구문에 대해서 다루지 않고 있기때문에 별도로 공부를 해야한다. 더불어 3월 8일 시험에서는 특히 정규식 관련문제가 다수 출제되었다.
공부기간,공부량
시험준비는 한달전부터 했지만, 본격적으로 준비한건 2주전부터인것 같다.
한달전에는 하루 30분 -1시간 정도, 2주 전에는 1-2시간 그리고 일주일전에는 하루에 2-3시간씩 공부하였다.
총평
처음에는 너무 쉽게 생각하며, 큰 기대를 하지 않았지만 실무적으로 많이 배울 수 있는 점도 있었다.
OCJP나 AWS 일부 시험과 같이 덤프문제를 반복적으로 풀면서 기출문제를 외워서 풀 수 있는 시험도 아닌것 같다.
대학 생활이후 오랜만에 시험공부를 하면서 SQL과 DB에 대해서 많이 배우고 재밌게 준비할 수 있었다 :)
개인적으로 쿼리 튜닝과 DB 최적화에 대해서도 공부해보고 싶은데, 마침 SQLP에서 해당 부분을 다룬다고 하여 SQLD 결과 발표이후, 다가오는 8월에는 SQLP를 준비하고 시험 도전해볼까한다. 합격률 5%.. ㄷㄷ
시험을 하루 앞두고 적은 글인데, 결과발표 이후에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시험결과
3월 8일 시험을 보고 돌아왔다.
헷갈리는 문제들도 많았지만 가채점 결과 80점이 넘는 점수로 무난히 합격한듯 하다.
물론 28일 최종 결과 발표가 나와야 알겠지만, 우선 SQLP, PCCP 준비를 하려한다.
3월 28일시험 결과 발표후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
3월 28일 시험 점수와 합격여부가 공개됐다.
여유있게 합격했다.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iew] 조금 늦은 2024년 회고와 2025년 목표 (1) | 2025.01.26 |
---|---|
통합회원(Integrated Member) 프로젝트 오픈 회고 (0) | 2023.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