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기남부끄럽지만, 5년차 개발자가 된 이 시점에 나의 SQL 실력은 어느정도일까 궁금해졌다.마침 SQLD 시험이 멀지 않은 시점에 있었고, 자격증이라고는 대학교때 따놓은 '정보처리기사' 뿐인지라, 이참에 내 SQL 실력을 테스트해보고, 나를 어필할 수 있는 자격증 하나를 더 얻어두면 좋겠다는 생각에 시험을 준비했다. 우선 한국 데이터 산업 진흥원 사이트에서 3월 8일에 예정된 SQLD 시험을 접수하였다.부끄러운 실력이지만 그래도 내가 몇년차인데라는 생각으로 기출문제를 풀어보고, 실무와는 또다른 문제들에 낯부끄러운 점수를 가지고 시험준비를 시작했다.공부방법 합격 후기나 시험을 준비한 많은 분들이 흔히 말하는 '노랭이책' SQL 자격검정 실전문제로 공부를 했다는 내용을 토대로 해당 책으로 공부를 시작했다..
주절주절2025년 올해는 대학을 졸업한 직후 작은 회사에서 시작한 개발자로써의 커리어가 5년차가 되는 해입니다.첫입사때 당시 나의 지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하기에 어렵던 코드와 쿼리들 그리고 주어지는 업무속 여러가지 IT 용어들이 무슨말인지 조차 알지못해 용어의 뜻을 하나하나 검색하며 일했던 초창기에 비해, 지금의 저는 물론 아직 부족하지만 그때에 비해 많이 성장한 것 같습니다. 올 한해는 특히 많은 일들이 있었고, 그 많았던 일들 만큼 새로운 지식과 생각들 저에게 다시 한겹 쌓이고 앞으로 살아갈 삶의 방향성을 되돌아보게 되었습니다.최근들어 제 또래의 지인들과 하는 말 가운데 "내가 느끼는 나의 모습은 아직 고등학교, 대학교때의 모습인데 몸만 이렇게 늙은것 같다."는 이야기를 농담으로 하곤합니다. 마찬가지..
프로젝트의 시작이전 스타트업에서 근무할 당시 경영난을 못이기고 결국 권고사직을 받은 후2023년 올해 2월 한샘으로 이직하게 되었다.회원 도메인을 담당하는 팀으로 배치받게 되었고, 6개월동안 진행중이던 프로젝트에 바로 합류하게 되었다.토스가 사일로(Silo)단위로 팀을 꾸려 프로젝트가 진행되듯, 한샘또한 도메인별로 하나의 팀을 이뤄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한샘에는 PI(아직도 무슨 약자인지 모르겠다.)라는 역할이 존재하여, 일반적으로 기획자가 프론트 전반에 대해 설계를 담당 한다면 PI는 백엔드 전반에 걸쳐 설계를 진행해주고 있었다.기획자 1명, PI 1명, 백엔드 4명으로 이뤄진 팀으로 첫 프로젝트를 시작 하게 되었다.생각보다 복잡한 회원 구조한샘은 온라인을 중요시 여기지 않는 제조업 기반의 회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