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 트랜잭션(JTA)기반의 회원 시스템 개발오랫동안 농익은 레거시 시스템은 현재 시점에서 뜯어볼수록 의문이 많은 설계와 코드들이 참 많습니다.제가 속한 서비스의 회원 시스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의 정보가 서로 다른 3개의 DB에 나뉘어 관리되고 있었습니다. 한명의 회원 정보가 여러 DB에 나뉘어 저장되는 것도 아니고, 유입된 채널에 따라 저장되는 DB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었습니다.즉 온라인에서 가입한 고객은 오프라인에서 확인할 수 없고, 오프라인에서 가입한 고객은 온라인 서비스에서 접근할 수 없는 구조였습니다.이는 당연히 마케팅 측면이나 서비스의 확장성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만들고 있었고, 이를 통합하기 위한 자칭 '통합회원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분리되어 있는 D..
JPA 연관관계 다대다(N:M) 실무에선 보통 사용하지 않는것을 권장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정규화된 2개의 테이블로 다대다를 표현할 수 없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다대다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중간 테이블을 통해 일대다, 다대일로 나누어서 표현해야한다. JPA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중간 테이블을 만드는 것과 달리 @ManyToMany 어노테이션을 통해 별도의 중간 테이블에 해당하는 엔티티를 만들지 않고도 다대다를 표현할 수 있다. 단방향 다대다 다대다 관계를 JPA를 통한 단방향 구현시 아래와 같이 코드 작성이 가능하다. Member (연관관계의 주인) @Entity @Table(name = "member") @Getter public class MemberEntity { @Id @Gener..
개요 MyBatis로 개발을 하던 중 요즘 많은 곳에서 JPA를 사용한다는 이야기를 접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MyBatis와 달리 생산성이 어마무시하게 늘어나는 걸 보고 본격적으로 공부하고 정리해보게 되었다. 목차 1. JPA란? 2. JPA 사용 목적 3. SpringData JPA를 이용한 간단한 CRUD JPA란? JPA는 자바 진영의 ORM 기술 표준이다. 아주 오래전 EJB를 사용하던 때 한 회사원이 EJB의 복잡성과 어려움에 견디지 못하고 퇴근하고 Hibernate를 만들었고 이걸 접한 JAVA에서 Hibernate 담당자들을 데려와 여러 개발자와 함께 JPA 표준을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중요한건 JPA는 하나의 명세일뿐 JPA를 기반으로 Hibernate, OpenJPA, Eclips..